대만 올림픽 대표팀

덤프버전 : (♥ 0)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 / Chinese Taipei
국가 코드TPE[1]
올림픽위원회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TPE)
대륙파일:아시아올림픽평의회 로고.svg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메달7111836
최고 순위하계 31위 (2004 아테네 올림픽)
동계 메달획득 없음
최다
메달 수
하계 12개 (2020 도쿄 올림픽)
동계 메달획득 없음
최다
금메달 수
하계 2개 (2004 아테네 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
동계 메달획득 없음


1. 개요
2. 역사
3. 역대 성적
3.1. 하계올림픽




1. 개요[편집]


1924~1948년까지의 중화민국 올림픽 대표팀과 국부천대 이후 1952년부터 1972년까지 여러 참가명으로 참가하다 1984년부터는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 참가하고 있는 대만의 올림픽 대표팀에 대해 다루는 문서이다.


2. 역사[편집]


중화민국이 처음으로 참가한 올림픽은 1924 파리 올림픽으로 테니스 선수 4명이 참가했으나 모두 기권하여 제대로 참가하지 못했다.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은 내전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했으며 국민정부가 수립된 이후인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참가했으나 선수 1명을 보내는데에 그쳤다. 1936 베를린 올림픽때 장제스의 국민정부는 7종목 54명에 달하는 당시의 국력에 비하면 큰 규모의 선수단을 파견했으나 노메달에 그쳤으며 중일전쟁이 종식되고 국공내전 중에 열린 1948 런던 올림픽 역시 노메달에 그쳤다. 국공내전이 국민당의 패배로 끝난 후 대만으로 쫒겨난 국민정부는 자신들이 중국을 대표한다고 주장했으나 개최국 핀란드의 불허로 인해 불참하게 되었다. 1956년1972년에는 우호국이였던 호주와 서독에서 개최된 관계로 중화민국이라는 국호로 참가했으나 1960 로마 올림픽, 1964 도쿄 올림픽,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는 참가는 했으나 정식 국호를 쓰지 못하고 포모사, 타이완 등의 이칭을 사용해야 했다. 그리고 1976 몬트리올 올림픽과 공산권에서 열린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아예 참가조차 하지 못했다. 이렇듯 대만(중화민국)은 국부천대 이후 약 20년간 참가명 문제로 부침을 겪다가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고 있다.

한편 타이완섬이 일본 식민지였을 때 일본 대표팀으로 출전한 타이완섬 출신도 있다.

1960 로마 올림픽에서 첫 메달을 수확한 이후 간간히 은메달과 동메달을 수확하다가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태권도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하는데 성공했으며, 이후 매 대회마다 금메달 1개 이상을 획득하면서 기대를 높이고 있다. 다만 동계 올림픽의 경우 아직 메달 획득 경험이 없다.

3. 역대 성적[편집]



3.1. 하계올림픽[편집]


­1위
­2위
­3위
4~10위
11위 이하
노메달

연도 순위 최종 순위 팀이름 합계
1896 아테네불참
1900 파리불참
1904 세인트루이스불참
1908 런던불참
1912 스톡홀름불참
1920 안트베르펀불참
1924 파리45위/45개국기권[2]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0000
1928 암스테르담불참
1932 로스엔젤레스37위/37개국노메달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0000
1936 베를린49위/49개국노메달0000
1948 런던59위/59개국노메달0000
1952 헬싱키불참
1956 멜버른72위/72개국노메달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0000
1960 로마32위/83개국32위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포모사)
0101
1964 도쿄93위/93개국노메달파일:대만 국기.svg
타이완
0000
1968 멕시코시티42위/112개국42위0011
1972 뮌헨121위/121개국노메달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0000
1976 몬트리올불참
1980 모스크바불참
1984 로스앤젤레스43위/140개국43위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
0011
1988 서울159위/159개국노메달0000
1992 바르셀로나49위/169개국49위0101
1996 애틀랜타61위/197개국61위0101
2000 시드니58위/199개국58위0145
2004 아테네31위/201개국31위2215
2008 베이징45위/204개국45위1124
2012 런던49위/204개국49위1012
2016 리우데자네이루50위/207개국50위1023
2020 도쿄34위/206개국34위24612
하계 올림픽 통산 17/27회64711183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2:38:34에 나무위키 대만 올림픽 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화민국 시기에는 ROC[2] 테니스 선수 4명이 참가했으나 전부 기권했다..